분류 전체보기 (257) 썸네일형 리스트형 [25년 07월] 안정감 == 마약 개요이번 달은 크게 뭐가 없었던 것 같다. 너무 안정적이었고 특별한 이슈가 없었기에 불안하다.최근 읽고 있는 책 ‘나답게 사는 순간, 비로소 어른이 되었다’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아무 문제 없이 안정적이라면 그건 앞으로 생길 문제가 다가오기 전이라는 것. 즉, 폭풍전야라고. 앞으로 어떤 일이 다가올지 모르지만 평범한 일상속에서 나는 할 수 있는 일을 했다. 다시 시작하는 자격증 이전까지 정처기 실기 시도한 내 잔해들이다. 아주 많이도 시험 쳤는데 매번 떨어졌다. 그치만 후회하지 않는다. 항상 시험치기 전에 뭔가 일이 생기다보니 어쩔 수 없었다. 물론 핑계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처음부터 다시 하면 되니까 괜찮다. 오히려 필기부터 다시 하면 실기 준비가 더 수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사이드 프로.. Java와 SpringBoot version 선택 개요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서 Java와 SpringBoot version 선택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어떤 version을 사용해야 할지 찾아가게된 과정에 대해 기술한다. 결국, SpringBoot는 3.5.1ver Java는 21을 선택했다. version 선택에 많은 시간을 소비할 수 없어 chat GPT와 함께 알아봤다. java version? (17 vs 21 vs 24) 🔍 이유 정리Java 버전 LTS (장기 지원) 여부안정성최신 기술추천 여부17✅ LTS매우 안정적조금 옛날⚪️ (무난)21✅ LTS안정적최신 기능도 포함✅ 가장 추천24❌ LTS 아님실험적가장 최신❌ (개발용 테스트엔 OK, 실무에선 비추) 🧠 왜 Java 21이 좋은 선택일까?✅ LTS (L.. [React] sh: tailwind: command not found 개요지난 글에서 사이드 프로젝트 진행으로 React Native를 사용하기로 했으나 다시 논의해본 결과 React로 결정되었다. 프론트는 야매로 GPT와 함께 해 본 경험이 전부이기에 이번 기회에 공부해보고자 "코드로 배우는 리액트:회사에서 개발할 때 쓰는 리액트와 스프링 부트" 책을 보고 따라하는 중이었다. 그러던 중 발생한 문제를 기록해놓고자 해당 게시글을 작성한다. ✅ 핵심 요점 react-scripts가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tailwindcss는 CLI 실행 파일(npx tailwindcss)을 제공하지 않습니다.그러니까 tailwindcss CLI를 직접 개발자가 설치해줘야 합니다. 문제상황 npm install -D tailwindcss 했을 때 아래와 같은 문제 발생sh: tailwin.. [React Native] RN 개발환경 세팅 feat. Mac 개요사이드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React Native를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책을 통해 따라해본 React Native 개발환경 세팅을 서술해놓았다. 필자는 Mac을 사용해서 Mac 기반으로 환경세팅 방법을 기록해놓았다. 1. nvm install https://github.com/nvm-sh/nvm?tab=readme-ov-file#installing-and-updating GitHub - nvm-sh/nvm: Node Version Manager - POSIX-compliant bash script to manage multiple active node.js versionsNode Version Manager - POSIX-compliant bash script to manage multip.. [TIL] 단순 참조 vs 외래키: 트랜잭션 처리에서의 선택과 고민 개요최근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PR을 진행하며 팀원에게 @Transaction 애너테이션을 사용 이유에 대해 질문을 받았다. 당시 명확한 답변을 하지 못했기에 애너테이션을 삭제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findBy와 save 메서드의 흐름에서 트랜잭션이 필요한 상황에 대해 다시 고민하게 되었다. 특히, findBy로 조회한 데이터가 다른 트랜잭션에서 삭제되는 경우에 대한 고민이 생겼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자 테스트를 진행했다. 결국 무결성 유지를 위해 테이블 분리 방법을 선택했다. 이런 결론을 내린 과정을 서술하고자 한다. 특정 상황에서의 트랜잭션? 기존에 findBy 메서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조회하고, sace 메서드를 사용해 데이터를 삽입하는 흐름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상.. [TIL] 도메인 기반 3-Tier 구조에서 SRP 고민(feat. Facade 개념 적용) 1. 트랜잭션에 대한 문제2. 다른 Service를 묶는 Service 생성3. 왜 Facade인가?4. 마무리 개요지난 번 3-Tier 구조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단일 책임 원칙(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SRP) 위배에 대해 글을 작성했다. 당시에는 트랜잭션 고려에 큰 비중을 두지 않았다. 하지만,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트랜잭션이 문제가 되었다. 해당 문제에 대해 나는 ServiceFacade라는 클래스를 생성했다. Facade 단어의 개념적 내용을 적용했다. 해당 글에서는 내가 왜 이렇게 결정내리게 되었는지 그 과정과 내 생각을 기술하고자 한다. 1. 트랜잭션에 대한 문제 지난 블로그에서 나는 Controller에서 다른 도메인 Service를 참조해서 사용하기로 .. [TIL] 3계층 구조의 단일 책임 원칙(SRP) 위배 목차 1. 도메인-3계층 구조의 SRP 위배 2. Controller에서 여러 Service 호출 3. 마치며 개요프로젝트에서 service단을 작성하던 중 단일 책임 원칙에 대해 생각했다.현재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단일 책임 원칙을 위배하지 않고 코드를 작성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했다.내가 현재 상황에서 내린 결정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도메인-3계층 구조의 SRP 위배 현재 service의 내용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1, 2번의 예외처리 때문에 팀원 구인글의 repository 호출해와야 한다. 이 과정에서 하나의 service에 하나의 repository를 호출해야되는 단일 책임 원칙이 위배된다. Controller에서 여러 Service 호.. [도서] 최고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강의 서평 개요 평소 GPT를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최근 딥시크가 화두로 떠오르면서 프롬프트에 대해 궁금증을 가지게 되었다.과연 프롬프트 엔지니어는 어떻게 GPT 활용도를 높이는가?가 호기심에 파동을 일으켰다.나는 이 책을 통해 프롬프트에 대해 알고 GPT를 활용하면 어떻게 더 나은 결과가 나올지 생각하며 책을 읽었다. 책에 대하여 해당 책은 LLM의 역사와 프롬프트 디자인 과정 그리고 보안적인 측면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특히 프롬프트에서 어떻게 하면 역량을 200% 끌어올릴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또한, 실제 상황에 맞춰 프롬프트를 구조화하여 사례를 기준으로 작성되어 있다. 배운 점 프롬프트 디자인 프레임워크 예제1. 역할 : 영어 선생님2. 대상 : 초등학교 학생들3. 지식/정보 : 나폴레옹 보나.. 이전 1 2 3 4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