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스파르타코딩클럽
- 내일배움캠프
- 국비
- 개인공부
- 스파르타내일배움캠프
- 운영체제
- til
- AWS
- 99일지
- Flutter
- 부트캠프
- 항해
- Python
- 99클럽
- 컴퓨터구조론 5판
- wil
- java
- Spring
- 개발자스터디
- 소프트웨어
- 프로그래머스
- 개발자블로그
- MySQL
- 백준
- 스파르타내일배움캠프TIL
- 컴퓨터개론
- 중심사회
- 스파르타내일배움캠프WIL
- 코딩테스트
- 자바
- Today
- Total
컴공생의 발자취
[42서울] 10기 1차 후기 본문
목차
- 42서울 라피신 과정
- 42서울 주차별 후기
- 42서울 결과
- 42서울 Q&A
42서울 라피신 과정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42 서울
(재)이노베이션 아카데미의 소프트웨어 개발자 양성 프로그램입니다. 교수, 교재, 학비가 없는 3무 교육 프로그램
42seoul.kr


42서울 주차별 후기
1주차
- 과제 진도 : sh00, sh01, C00
- 팀 프로젝트(Rush00) : 120점
- exam : 50/100
1주차 시작 전에 클러스터에 도착해서 등록을 했고, 첫 날은 엄청 열심히 했다.
과제를 어떻게 진행하면서 제출하는지와 동료평가는 어떻게 받고 하는지에 대해 알아가는 주였다.
팀 프로젝트는 1주차라 그런지 매우 쉬워서 딱히 분업이나 의논할만한 건 없었다.
팀원을 잘 만나서 별 문제없이 완료했다.
시험은 시작하기 전에 다른 후기에서 시작도 못하고 나간 사람이 많다고 해서 걱정했는데 어떻게 시작하면 되는지 42서울 무슨 사이트였지 거기에서 나침반의 내용을 잘 읽어보면 진행방법이 다 나와있다. 그런데 터미널이랑 시험문제 찾는 건 좀 애먹긴 했다.. 나는 찾는데 30분..? 정도 걸렸던 것 같다.
! Tip
- 시험 제출과 문제풀이는 다른 곳에서 진행
- 검색을 이용하자 !
- Finder을 이용하자 !
2주차
- 과제 진도 : C01, C02
- 팀 프로젝트(Rush01) : 0점
- exam : 90/100
2주차 부터는 좀 적응을 해서 편했다. 과제는 그냥 하던 대로 계속 진행했다.
팀 프로젝트는 팀원을 잘 만나서 열심히 진행했다. 하지만, 동적할당에서 재할당이 되도록 확인을 해주어야 하는데 그 부분을 해주지 않았다. 그래서 예외처리에서 통과받지 못해 점수 자체를 받지 못했다. 그래도 팀원을 잘 만나서 분업도 했고 문제없이 진행해볼 수 있는 기회였다.
시험은 어쩌다보니 좋은 점수를 받았다. 2주차에서 자신의 진도에 맞게 시험이 나온다고 했는데 아닌 것 같다는 걸 깨달았다. 1주차는 C00, 01이 나오고 2주차는 C02까지 나온 것 같았다. 맞는지는 잘 모른다. 암튼 진도에 맞게 안 나오는 것 같다.
3주차
- 과제 진도 : C03, C04
- 팀 프로젝트(Rush02) : 신청X
- exam : 90/100
3주차부터는 뭔가 열심히 쉰 것 같다..? 적응이 다 되어서 그냥 열심히 쉬었다. 휴가철이기도 해서 다들 휴가가는 사람도 많았고 안 나오는 사람도 꽤 있었다.
3주차부터는 팀 프로젝트를 안 하는게 낫다고 판단해서 신청을 안 했다.
3주차도 어쩌다보니 시험은 좋은 점수를 받았다.
2주차에 가장 많은 사람을 알아간 것 같았다. 3주차에는 2주차에 비해서는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지는 않았다.
진도가 생각보다 늦다는 걸 깨달았지만, level은 시험 점수를 잘 받아서 중간 정도는 갔던 것 같다.
4주차
- 과제 진도 : C06, C07, C08
- 팀 프로젝트(Rush03) : 신청X
- 팀 프로젝트(BSQ) : 0점 - 신청만 함
- Final exam : 12/100
주에 40시간을 채워야 지원금 100만원을 받을 수 있어서 밤새면서 클러스터에 있었다. 시험 당일 날 시간도 포함된다고 하지만, 내가 시험 당일에 얼만큼 있을지를 몰라서 5일 동안 40시간 하루 8시간 이상을 클러스터에서 있었다. 이 당시 몸 상태가 매우 안 좋았던 것 같다.
마지막 시험에서 장염을 걸려서 죽는 줄 알았다...
당시 level은 8~9 정도 됐었던 것 같다. 시험은 집중이 안 되어서 실수도 많이 하고 아프니까 모르겠고 해서 걍 때려쳤다...
딱히 본과정에 그렇게 가고싶었던 것도 아니기에 좋은 경험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나는 아파서 죽을 가져갔지만, 시험에서 먹을 수 있도록 간단한 초코바 2개 정도와 물, 250ml의 주스가 제공된다.
42서울 결과
최종 결과가 나오기 전에 문자가 한 번 온다. 본과정에 참여할 것인지 선택하는 설문조사이다.
나는 타 지역이기에 100만원 가지고 주에 한 번씩 금요일에 가서 일요일이나 월요일에 내려오는 왕복 4시간의 노력을 할 자신이 없어서 안 한다고 했다.
결과는 불합격이었지만, 한 번 쯤 해보는 활동으로는 나쁘지 않았던 것 같다. 하지만 한 번 더 하라면 안 할거야!!!
! 진도
- 과제 진도 : C08
- 팀 프로젝트 : Rush00(120), Rush01(0)
- BSQ : 0점
- exam : 50, 90, 90
- Final exam : 12/100
- level : 8~9...?
보통 합격한 사람들의 진도는 C10, 팀프로젝트 2개, exam은 평균 80점이고 Final exam은 50..?이상으로 맞추면 되는 것 같다. 정확하지는 않지만 참고사항으로 보기를 바랍니다~~~

42서울 Q&A
- 지원금 받는 기준은 뭔가요?
주 40시간씩 클러스터에 있어야 합니다. 이 부분은 카드키로 출입기록을 찍어서 산출합니다.
출입기록은 홈페이지에서도 확인 가능하며, "42서울 - 24HANE"이라는 애플리케이션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마지막 주차는 5일 동안 40시간을 채워야 하며, 5일째인 Final exam 시험 당일에 기록된 시간도 포함됩니다.
- 서울이 아닌 타지역은 어떻게 하나요?
보통 지인이 있는 경우는 한 달 동안 지인의 집에서 지내지만, 지인이 없는 경우에는 강남역 근처의 고시원을 구해서 한 달 동안 생활합니다.
하지만, 서울에 지인이 있거나 서울에서 지내는 경우가 아닌 사람은 42서울에 지원하지 않는 걸 추천합니다.
차라리 다른 걸 하세요..
- 다른 일이나 학교 생활을 병행 할 수 있을까요?
라피신 기간에 직장인분들이 야간에 오셔서 진행하는 걸 봤지만 많이 힘들어 보였습니다. 하지만 하려면 할 수는 있습니다. 학교 생활 병행은 학교가 서울이나 경기도에 있어서 통학이 가능하다면 병행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본과정(피신)에서 주 3회 이상 클러스터에 필수로 출석해야 한다는 조항이 있기 때문에 타 지역의 학생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 라피신은 정확하게 어디에서 진행되나요?
강남역 5번 출구에서 나와서 쭉 직진하다보면 대륭서초타워가 있습니다. 그 건물 4, 5층에서 진행됩니다.
'🤝 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개발자 JD 분석 (1) | 2024.03.27 |
---|---|
Spring 트랙을 신청한 이유 (2) | 2024.03.18 |
[우테코] 우아한테크코스 웹 백엔드 6기 후기 - 자기소개/프리코스 (4) | 2024.03.01 |
[SSAFY] 싸피 11기 지원 후기 - 준비과정 (Feat. 전공자) (1) | 2024.02.13 |
[42서울] 10기 1차 온라인테스트 & 체크인 미팅 & 라피신 온라인 신청 완료 후기 (0) | 2023.11.12 |